육체동력기관 ; 페이퍼

physical power plant; the paper

총 3부작으로 구성된 1시간의 작업이다.

전체작업의 컨셉은 종이를 매체로 하는 논리와 비논리 사이에서의 불변하는 형태에 비유를 통해, 인간을 둘려싼 환경과 존재의 끊임없는 변화에 대한 고찰을 담고있다.

it is 1 hour work and has 3 different parts

the overall concept is to use paper to compare the changes within logic and non-logic, in order to express the concerns about the changes around environment and human beings

part 1

feel the paper

concept 정치적인 의미를 담아내고있다. 불변의 권력이라는 요소속에 형태속에 변화하는 이미지가 있다. 시간과 공간에 따라 형태는 변화하지만 속성은 변화하지 않는다. 권력을 언어적인 요소와 작가는 연결시킨다. 언어는 권력이며, 언어의 체계가 론을 형성하고 론은 문명을 만들어내고, 문명은 사회화속 권력을 필요로한다 이작업은 언어라는 매체의 상징으로 사전이 등장한다

…..(중략)….. 입을 통한 언어적 기능은 결국, 언어적 무기를 통해, 속성화된 절대권력을 양산한다. feel the paper는 이러한 언어를 통한 불변하는 않는 권력에 대한 주제표현이다. 그속에 존재하는 개체존재들은 사회속에서 결코 자유스러울 수 없다

concept

it contains political meanings. Power never changes but the form changes. Form can change by time and place but the characteristics never change. The artist relates power with language. Language is power, and language forms “Ron”, “Ron” forms civilization, civilization needs power from society. This work symbolizes language …(cut)… Human’s mouth has weapon called language that produce absolute power. Feel the paper is expressing never changing power. The individual creatures that exist inside cannot be ever free in that society

part2

physical power plant ; 20 cigarettes

(중략)…논리의 세계는 무례한 폭력이며, 이 폭력에 저항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았고, 줄자는 그 논리와는 다른 세계이다. 그러나, 정말 논리와 비논리는 분리되어있을까? 줄자를 통해, 칼을 뽑는 행위와 관객을 향해 던지는 행위는 논리의 폭력에 반대하는 비논리를 담은 비폭력일까? 후반부의 행위는 바로 이러한 논리 ,비논리에 빠져버린 자아를 대상체화하여 낭만적이며, 감성적인 흡연장면을 통해, 이것들의 구분이 바로 쓸쓸한 구조라는 것을 보여준다.

살아있다는것은 존재하는 것이다. 그 존재로서 완벽하며, 완벽은 불완전에서 비롯된다. 공허와 쓸쓸함 , 꽃잎은 하나의 자연성을 상징한다. 그것은 때론 사전에 의한 학습에 따른 문명의 반대이며, 하나이다. 원형을 도는 것, 십자형을 만드는 것, 천천한 동작으로 사전을 향해 달리는 동작은, 이러한 구조 자체에 대한 허무를 표현한다

(cut)… the world of logic is impolite violence, contains the will to resist this violence, ruler is a different world than the logic. However, is the logic and non-logic really separated? By the ruler, the act of drawing sword and act of throwing things to the crowd, is that non-violence that contains non-logic that goes against violence? The second half of the act is to display this logic, non-logic, and the self in a romantic emotional smoking scene to show that this is loneliness

part 3

language flower

concept – 종이라는 평면의 표면에 쓰여진, 정보매체, 텍스트는 하나의 가상, 심리적 입체적 이미지이다. 두뇌에, 연상작용을 일으켜 텍스트는 매일 정보를 뇌에 각인시킨다. 랭귀지 플라워는 목에 걸린 붉은 선은, 또 다른 텍스트에 대한 심각한 경고의 이미지이며, 이를 구체화한 모션이, 날카로운 나이프로, 텍스트를 그어 잘라내는 것이다…..(중략)…. 작가의 의도는 이러한 원형과 변형되어진 결과물 , 사이의 간격을 시간속에서, 인간 in 매체의 기능적 구조적 관계를 담아 과연 사이간격을 과정적 담론을 담아 보여주고, 생각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Information and text on paper are just another unreal, visual, mental image. Everyday, text carves new information to the brain. Language flower is a warning, and the motion that maximizes this can be a sharp knife that cuts off the text. ….(cut)….The artist’s intention is to show and remind using the result from circle form materials and the space between them, and human in device and the functional relationship step by step